티스토리 뷰
주방기구와 일회용품 사용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집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에서 요리해 먹는 빈도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죠. 문제는 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주방기구 또는 일회용품의 무분별한 사용법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몸을 망쳐가고 있다는 것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주방기구와 일회용품을 사용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에 대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새로 산 용기
냄비나 텀블러 등을 처음 구매 후, 손으로 만지면 무언가 까맣게 묻어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스테인리스 제품에 사용되는 연마제인데 스테인리스를 깎거나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문제는 이 연마제가 발암 추정물질이라는 것인데요. 연마제의 주성분은 ‘탄화규소’로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이것을 2A 등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호흡기로 흡입했을 때 폐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물질입니다.
연마제는 물이나 세제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 식용유와 베이킹소다를 이용해 제거해야 하는데, 키친타올이나 행주에 식용유를 묻혀 제품을 닦으면 식용유가 탄화규소와 같은 소수성 물질이라 연마제가 식용유에 잘 달라붙으면서 잘 제거됩니다.
또는 베이킹 소다를 물과 섞어서 설거지하듯, 제품을 닦아주면 알칼리성인 베이킹 소다가 탄화규소를 녹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식기
알루미늄 식기류는 열과 전기전도율이 높아서 음식물이 빨리 끓고 무게가 가벼우며, 녹이 잘 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산이나 염분을 많이 함유한 토마토, 매실절임 등의 식품으로 담아 보관할 경우, 알루미늄이 우러나올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에 많이 노출되면 구토나 설사,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식초, 토마토소스와 같이 산도가 강한 식품이나 간장, 된장 등도 용기에 장기간 오래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알루미늄 식기류를 세척할 때 표면의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벗겨질 수 있으므로, 금속 수세미처럼 뻣뻣하고 날카로운 수세미 대신 부드러운 재질의 제품을 사용해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알루미늄 용기를 새로 구입했다면 용기의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물을 넣고 한 번 끓여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 사용해서 색이 변한 알루미늄 제품은 알루미늄이 더욱 많이 용출될 수 있으니, 즉시 새것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가정용 쿠킹 호일과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냄비는 어떨까요? 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이 되면서 쿠킹 호일과 알루미늄 냄비의 사용량도 함께 늘었죠. 한강 편의점에서 알루미늄 냄비를 이용해 즉석으로 끓여먹는 라면, 생선이나 고구마, 감자를 호일에 감싸서 구울 때, 또는 고기집에서 불판 위에 올라가는 쿠킹호일들, 이 행동들은 과연 안전할까요?
쿠킹호일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성인 한사람이 건강에 위험을 주지 않는 ‘섭취가능한 알루미늄양’ 을 일주일동안 체중 1kg당 1mg으로 규정하였습니다. 체중 60kg 성인의 경우, 허용가능한 양은 8.6mg 알루미늄인 셈인데요. 독일의 NDR방송에서 알루미늄에 대한 실험 중, 아스파라거스를 오일에 싸서 오븐에 넣고 수치를 측정하는 실험을 했는데, 측정 결과 1kg의 아스파라거스에 알루미늄이 많게는 22.7mg까지 검출되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체중 60kg 성인이 일주일간 먹어도 되는 허용치를 무려 3배 가까이 초과한 것인데요. 즉, 쿠킹호일을 이용해 음식을 감싼 뒤 구워 먹는 행위 또는 고기집에서 호일위에 고기를 구워 먹는 행위는 정말로 독을 먹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렇게 녹아 나온 알루미늄이 체내에 흡수되는 경우, 대부분 신장에서 걸러져 체외로 배출되지만 문제는 100% 다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렇게 점차 몸에 체내에 쌓인 알루미늄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합니다.
혹시 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사용한 적이 있으신가요? 플라스틱중에서도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면 안되는 종류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전자레인지에 사용해도 되는 플라스틱은 2번과 5번이 해당됩니다. 2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으로 70~100도 정도의 높은 내열 온도를 지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5번 폴리프로필렌(PP)도 마찬가지로 121~165도로 내열 온도가 높고, 고온에서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플라스틱은 환경호르몬에 안전할까요?
플라스틱 제품에서 검출되는 위험한 환경호르몬 물질은 바로 ‘비스페놀A’라는 물질입니다. 195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던 비스페놀A 성분은 인체에 유입될 경우 내분비계 교란을 일으켜, 비만을 유발하거나 간에 문제를 일으키는 등,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2번과(폴리에틸렌 HDPE), 5번(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은 비스페놀A가 들어있지 않으며 환경호르몬 또한 검출되지 않아 전자레인지에 사용이 가능하고,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도시락도 전자레인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외의 플라스틱들은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환경호르몬이 배출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비닐 랩
비닐 랩은 과연 전자레인지에 안전할까요?
플라스틱 재질 중 하나인 폴리염화비닐(PVC)재질로 만들어진 비닐랩은 ‘프탈레이트(DEHP)’라는 환경호르몬이 들어갑니다.
프탈레이트(DEHP)는 딱딱한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해주는 가소제인데 이 성분이 들어있는 비닐이 열에 가열되면 프탈레이트(DEHP)가 방출돼 음식에 들어가고 그것을 섭취하게 되면 암, 생식기능 장애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시중에서 파는 가정용 랩은 프탈레이트(DEHP)가 검출되지 않는 폴리에틸렌(PE)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지만, 프탈레이트(DEHP)가 들어간 폴리염화비닐(PVC)랩이 상대적으로 접착력 등이 우수해, 아직도 일부 가정용이나 업소용으로는 사용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만들어진 랩은 100도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고온의 음식에 닿으면 안되고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면 안됩니다. 또한 랩에 들억나 성분은 기름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방함량이 많은 기름진 음식, 알코올이 많은 식품을 랩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여 보관하는 것은 좋지 않으니 피해야 합니다.
코팅 프라이팬
코팅 프라이팬을 만들 때 들어가는 물질 중 ‘PFOA’라는 성분은 발암가능성이 높은 물질에 속하며 음식을 고온에서 조리할 때, 또는 프라이팬의 코팅이 벗겨진 채로 사용하면 PFOA성분이 더욱 많이 방출되게 됩니다.
PFOA가 체내에 들어오면 밖으로 빠져 나가기까지 수년에서 수십년이 걸리기도 하며, 체내에 머물러 있는 동안 간이나 신장, 혈액 등에 쌓여 톡성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때문에 코팅된 프라이팬 제품을 사용하기 보다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발암물질 염려가 없는 스테인레스 제품을 사용하거나 코팅된 제품을 고르더라도 PFOA가 들어가지 않은 PFOA프리(FREE)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약처에서는 코팅 프라이팬을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법을 소개했는데요. 코팅 프라이팬을 구매 직후 물과 식초를 1:1로 부어 10분정도 끓이고 깨끗이 세척하고, 팬을 달군 뒤 (고온X) 식용유를 엷게 바르면서 3~4번 반복하여 ‘기름 코팅’으로 길들여주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염분이 많은 음식물을 프라이팬에 오래 두면 코팅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리 직후에는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코팅이 벗겨진 프라이팬이라면 아까워하지 말고, 즉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