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면증 치료 낮시간 과도한 졸림 증상 해결방법

기면증은 낮 시간 과도한 졸림을 일으키는 중추성 질환으로 우리 머리에 있는 시상하부라고 하는 부분에서 정상적인 각성을 유지시켜주는 물질인 히포크레틴이 분비가 결여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기면증으로 인해 생활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데요 기면증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약물치료

주된 가면증 치료로 보통 카페인 등 처방 없이 구매 가능한 약물은 기면증에 잘 적응이 되지 않는다.

- Modafani(프로비질) : amphetamine에 비해 각성작용이 덜할 수도 있지만 수면을 방해하는 작용이 덜하고 약물남용의 우려가 적다. 그러나 두통 등이 자주 나타날 수 있다.

- 각성제 : methylphenidate, dextroamphetamine,methamphetamine

- 탈력발작의 치료 : valefaxine (이펙사) 삼환계 우울제, sodium oxybate등으로 조절한다.

- Sodium oxybate ,GHB: 깊은 수면을 유발한다. 수면유도작용이 강하고 과량의 소금을 야간에 함께 복용해야 한다. 탈력발작에도 효과가 있으나 약간 남용의 위험성이 있다. 효과가 발생하는데도 수주일 걸린다. 

행동요법

- 적절한 약물치료의 효과를 보기 위해 기면증 치료로 행동요법이 필수적이다.

- 자고 일어나는 시간도 일정해야 하며 지속적인 각성을 요구하는 작업을 피한다.

- 기본적 수면환경 요법에 유의한다.

- 운전과 요리 등 위험성이 있는 일에 유의한다.

- 하루 1~2회 15~20분정도 낮잠을 자는 것이 도움이 될 수있다.

- 수면부족과 잦은 수면 일상 생활주가의 변화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 과식, 진정작용이 있는 약물을 삼가한다.

환경 조절을 통한 기면증 치료

- 기면증 동호회 등 가입을 한다.

- 작은 교실환경의 변화가 환자의 자아 평가 및 능력을 이끌어 낼 수있다.

- 학교에서는 수업중 일정 시간에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담당 선생님은 반드시 병에 대해 알아야한다.

- 친구들에게 질병에 대해 알려주고 질병안내서 등을 주는 것이 좋다.

- 환자의 행동이 정신적문제나 고의적인 문제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고 인식시킨다.

- 탈력발작이나 주간에 꿈에 의한 행동 등이 정신병이나 환자로 간주 될 수있다. 장기적으로 사회적으로 도태되기 쉽다.

- 회사에서는 직원들에게 기면증 치료에 대한 교육을 하고 직원의 적절한 능력을 끌어내기 위한 적절한 휴식시간과 조치 등을 취한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