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서 단일 질환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질환은 바로 뇌졸중이라고 하네요.

뇌졸중은 골든타임 안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생존하더라도 반신 마비나 손발의 마비, 그리고 언어장애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데, 그래서 골든타임이라고 불리는 약 3~4시간가량의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만약 이 시간을 넘기게 되면 약을 써도 아예 소용이 없고, 수술을 해도 뇌 손상이 커졌기 때문에 심각한 장애가 남거나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이렇게나 무서운 뇌졸중의 전조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뇌혈관질환 예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뇌졸중의 전조증상

바로 갑작스런 두통이나 메스꺼움입니다.

평소엔 전혀 그런 일이 없었는데, 갑작스럽게 머리에 심한 통증이 있거나 메스꺼움 구토 증세가 있는 경우, 뇌 동맥이 파열되어서 생긴 지주막과 출혈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갑작스러운 두통이 나타났는데, 이것이 과거에 경함한 적 없는 이상하고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면 절대 망설이지 마시고 바로 119 전화를 누르셔야 합니다.

마비에 의해서 몸에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것입니다.

갑자기 얼굴 쪽에 마비가 온다던지 아니면 몸을 좌우 절반으로 딱 나눴을 때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한쪽 손발에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뇌졸중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혹은 자신도 모르게 쥐고 있던 물건을 떨어뜨린다거나 걷다가 아무 이유 없이 쉽게 넘어지는 경우도 뇌와 관련된 문제를 의힘해 봐야 합니다.

눈이 침침해지면서 갑자기 잘 안 보일 때입니다.

그러면서 물체가 이중으로 보인다거나 한쪽 눈의 시력이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 역시 뇌졸중 전조증상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노화로 인한 시력저하가 비교적 서서히 진행되는 데 비해 뇌졸증 전조증상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 아주 갑작스럽게 나타난다는 점이 다르다고 합니다.

갑자기 건망증이 심해지는 증상입니다.

안 그러던 사람이 갑자기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거나 아니면 최근에 일어난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물론 고령자의 경우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치매로 인해 건망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노화에 의한 건망증은 아주 서서히 진행되는 게 일반적인 경우라 뇌졸증의 전조증상 같은 경우엔 아주 갑작스럽고 급격한 건망증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현기증과 말 어눌해짐입니다.

갑자기 현기증이 생기면서 일어나서 걷는 게 힘들어진다면 뇌 관련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현기증은 뇌 문제와 상관없이 오는 경우도 있지만, 만약 손발에 약간이라도 저린 증상이 나타나면서 현기증이 찾아온다면 뇌와 관련된 질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말투도 갑자기 어눌해지기 시작합니다.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이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잘 알아들을 수 없다거나 말이 잘 안 나오고 힘들게 말을 한다 해도 입과 근육이 마비된 것처럼 느껴지면서 말투가 어눌하게 나올 경우 뇌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한번쯤은 의심해 봐야 합니다.

이렇게 뇌졸중은 한번 오면 그 파급력이 정말 어마 무시한 질병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

살이 찌면 안 됩니다.

과체중일 경우 혈중 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지면서 혈액 흐름이 방해받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혈압이 높아지고 당뇨병에 잘 걸리며 고지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뇌졸중에 걸릴 확률도 함께 높아지게 됩니다. 비만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뇌졸증 위험이 2~3배 이상 높다는 점, 기억하셔야 합니다.

과로와 추위를 피하셔야 합니다.

우리 몸은 육체적으로 무리를 하게 되면 심장박동 이상을 초래하면서 피를 굳게 만들고 이것이 뇌졸중으로 발전되게 됩니다. 우리 주위에서 잠 적게 자면서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는데요. 이런 분들의 상당수가 과로에 의한 뇌졸중인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몸에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도 매우 좋지 않습니다.

따뜻한 데서 추운 데로 나갈 때는 반드시 보온에 신경 써줘야 합니다. 그리고 음식을 싱겁고 담백하게 드시는 습관도 들이셔야 하는데, 음식을 싱겁게 먹는 습관은 뇌졸중을 예방하는데 정말 큰 도움을 줍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서양 사람들에 비해 두 세 배가 넘는 양의 소금을 섭취하는데 소금의 과다 섭취는 혈액 속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게 만들고 혈압을 상승시키면서 그로 인해 혈관이 받는 압력도 더 커지게 만들기 때문에 음식을 짜게 먹고 간을 세게 해서 드시는 분들은 좀 더 주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